알고리즘강의
-
패스트 캠퍼스 챌린지 7일차 - 자료구조 연결 리스트(Linked List)#4카테고리 없음 2021. 9. 12. 20:53
목차 더블 링크드 리스트 간단한 구현 1.더블 링크드 리스트 노드 갯수가 10000개라고 가정하고 찾고자 하는 노드가 대략 9000번째에 있다면 검색하는데 너무 많은 시간이 든다. 이때 뒤에서 부터 검색을 할수 있다면 앞에서 부터 찾는것 보다 9배는 빠르게 찾을수 있다. 뒤에 오는 노드 뿐만 아니라 앞에있는 노드를 기억하는 List를 Double Linked List라 한다. 2.간단한 구현 #Node 정의 class Node: def __init__(self,data,prev=None,next=None): self.prev=prev self.data=data self.next=next #DoubleLinkedList class DoubleLinkedList: def __init__(self,data):..
-
패스트 캠퍼스 챌린지 6일차 - 자료구조 연결 리스트(Linked List)#3카테고리 없음 2021. 9. 11. 21:09
목차 삭제 간단한 구현 1.삭제 2.간단한 구현 #Node 정의 class Node: def __init__(self, data, next=None): self.data = data self.next = next #LinkedList class LinkedList: def __init__(self, data): self.head = Node(data) def add(self, data): if self.head == '': self.head = Node(data) else: node = self.head while node.next: node = node.next node.next = Node(data) def desc(self): node = self.head while node: print (node..
-
패스트 캠퍼스 챌린지 5일차 - 자료구조 연결 리스트(Linked List)#2카테고리 없음 2021. 9. 10. 20:44
목차 장단점 추가 간단한 구현 1.장단점 장점 미리 데이터 공간을 미리 할당하지 않아도 됨 배열은 미리 데이터 공간을 할당 해야 함 단점 연결을 위한 별도 데이터 공간이 필요하므로, 저장공간 효율이 높지 않음 연결 정보를 찾는 시간이 필요하므로 접근 속도가 느림 중간 데이터 삭제시, 앞뒤 데이터의 연결을 재구성해야 하는 부가적인 작업 필요 2.추가 3.간단한 구현 #Node 정의 class Node: def __init__(self, data, next=None): self.data = data self.next = next #추가 함수 def add(data): node = head while node.next: node = node.next node.next = Node(data) #head 생성 n..
-
패스트 캠퍼스 챌린지 4일차 - 자료구조 연결 리스트(Linked List)#1카테고리 없음 2021. 9. 9. 22:45
목차 설명 구조 간단한 구현 1.설명 연결 리스트라고도 함 배열은 순차적으로 연결된 공간에 데이터를 나열하는 데이터 구조 링크드 리스트는 떨어진 곳에 존재하는 데이터를 화살표로 연결해서 관리하는 데이터 구조 본래 C언어에서는 주요한 데이터 구조이지만, 파이썬은 리스트 타입이 링크드 리스트의 기능을 모두 지원 2기본 구조 노드(Node): 데이터 저장 단위 (데이터값, 포인터) 로 구성 포인터(pointer): 각 노드 안에서, 다음이나 이전의 노드와의 연결 정보를 가지고 있는 공간 3.간단한 구현 #Node 정의 class Node: def __init__(self, data, next=None): self.data = data self.next = next #추가 함수 def add(data): nod..
-
패스트 캠퍼스 챌린지 3일차 - 자료구조 스택(Stack)카테고리 없음 2021. 9. 8. 22:57
목차 Stack이란 Stack API Stack의 장단점 Python에서의 Stack Stack 만들기 1.Stack 스택은 LIFO(Last In, Fisrt Out) 또는 FILO(First In, Last Out) 데이터 관리 방식을 따름 LIFO: 마지막에 넣은 데이터를 가장 먼저 추출하는 데이터 관리 정책 FILO: 처음에 넣은 데이터를 가장 마지막에 추출하는 데이터 관리 정책 대표적인 스택의 활용 컴퓨터 내부의 프로세스 구조의 함수 동작 방식 데이터를 제한적으로 접근할 수 있는 구조 한쪽 끝에서만 자료를 넣거나 뺄 수 있는 구조 가장 나중에 쌓은 데이터를 가장 먼저 빼낼 수 있는 데이터 구조 큐: FIFO 정책 스택: LIFO 정책 2.Stack API push(): 데이터를 스택에 넣기 po..
-
패스트 캠퍼스 챌린지 2일차 - 자료구조 큐(Queue)카테고리 없음 2021. 9. 7. 23:05
목차 Queue란 Queue API Python에서의 Queue Queue 만들기 1.Queue 줄을 서는 행위와 유사 가장 먼저 넣은 데이터를 가장 먼저 꺼낼 수 있는 구조 음식점에서 가장 먼저 줄을 선 사람이 제일 먼저 음식점에 입장하는 것과 동일 FIFO(First-In, First-Out) 또는 LILO(Last-In, Last-Out) 방식으로 스택과 꺼내는 순서가 반대 2.Queue API Enqueue: 큐에 데이터를 넣는 기능 Dequeue: 큐에서 데이터를 꺼내는 기능 3.Python의 Queue queue 라이브러리에는 다양한 큐 구조로 Queue(), LifoQueue(), PriorityQueue() 제공 프로그램을 작성할 때 프로그램에 따라 적합한 자료 구조를 사용 Queue():..
-
패스트 캠퍼스 챌린지 1일차 - 자료구조 배열카테고리 없음 2021. 9. 6. 18:23
목차 배열이란 배열이 왜 필요 할까? 배열의 장단점 Code 1.배열 데이터를 나열하고 각 데이터를 인덱스에 대응하도록 구성한 데이터 구조 이다. 파이썬에서는 리스트 타입이 배열 기능을 제공하고 있다. 2.배열이 왜 필요할까? 같은 종류의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사용 한다. 같은 종류의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저장 한다. 3.장단점 장점 인덱스를 통해 빠르게 접근이 가능하다. 단점 추가 삭제가 번거롭다. 4.Code #Ex1) 1차원 배열 data=[1,2,3,4,5] print(data) #Ex2) 2차원 배열 data=[[1,2,3,],[4,5,6],[7,8,9]] print(data) print(data[0]) print(data[0][0]) #Ex3) 아래 배열안에 있는 "M"의 개수는 몇..